리눅스에서 USB 없이 마운트 실습하기: loop 디바이스와 fstab 자동 마운트 이해하기
·
Linux
리눅스를 공부하다 보면 실제 USB 없이도 마운트 실습을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저는 오늘 실습을 통해 loop 디바이스를 활용해 가상 디스크를 만들고, 이를 /etc/fstab에 등록하여 자동 마운트까지 성공한 과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특히 처음에는 이해가 어려웠던 개념들을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마운트(Mount)란?처음 리눅스를 접했을 때, "마운트(mount)"라는 개념이 매우 생소했습니다. 윈도우에서는 USB를 꽂으면 자동으로 드라이브(E:, F:)가 생기지만, 리눅스에서는 그렇게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리눅스는 모든 저장장치를 디렉토리처럼 취급합니다. 어떤 장치를 사용하려면 특정 디렉토리에 "연결"해주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게 바로 "마운트"입니다. 예를 들어, /dev/sdb1이라는..
Linux에서 Claude AI Desktop App 사용하는 법 (비공식 루트)
·
Linux
설치 배경MCP를 사용해보기 위해 Claude AI Desktop App 을 다운받으려 했으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Linux OS의 desktop app 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방법을 찾던 중 Debian 계통의 Linux OS에서 지원되는 Claude AI app 을 찾았습니다. https://github.com/aaddrick/claude-desktop-debian GitHub - aaddrick/claude-desktop-debian: Claude Desktop for Debian-based Linux distributionsClaude Desktop for Debian-based Linux distributions - aaddrick/claude-desktop-debiangithub...
Linux 파일 권한과 chmod 명령정리
·
Linux
Linux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다루다 보면 파일의 속성과 권한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ls -l 명령어를 실행하면 파일이나 디렉토리 앞에 나타나는 문자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chmod 명령어를 통해 파일 권한을 어떻게 변경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파일 타입 체계Linux에서는 파일을 유형별로 구분하며, ls -l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파일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ls -l 실행 결과의 예시입니다. 출력 결과에서 가장 왼쪽의 문자는 파일의 타입을 나타냅니다.문자파일 타입설명-일반 파일텍스트 파일 등 일반적인 파일d디렉토리 (Directory)폴더l심볼릭 링크 (Symbolic Link)다른 파일을 가리키는 링크b블록 장치 (Block Device)하드디스크, US..
AWS EC2에서 Linux Red Hat 설치 방법 / 리포지토리 설정 방법 / 등록 오류 해결
·
Linux
Linux OS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에 Linux OS를 직접 설치하거나, Virtual Machine을 통한 가상 환경 내에서 Linux OS를 구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 현재 이용하고 있는 PC가 Windows OS인 경우 Virtual Box나 VMWare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 환경 구축이 용이합니다. 하지만 Mac OS의 경우, Windows에 비해 가상 환경 셋팅을 위한 범용적인 프로그램이 수가 적고 퀄리티가 좋은 경우 일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MacBook의 경우, M1 칩이 내장되어 있어 Oracle VM VirtualBox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VirtualBox는 x86 기반 가상화를 사용하지만, M1(M2) 칩은 A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