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OS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에 Linux OS를 직접 설치하거나, Virtual Machine을 통한 가상 환경 내에서 Linux OS를 구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 현재 이용하고 있는 PC가 Windows OS인 경우 Virtual Box나 VMWare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 환경 구축이 용이합니다. 하지만 Mac OS의 경우, Windows에 비해 가상 환경 셋팅을 위한 범용적인 프로그램이 수가 적고 퀄리티가 좋은 경우 일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MacBook의 경우, M1 칩이 내장되어 있어 Oracle VM VirtualBox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VirtualBox는 x86 기반 가상화를 사용하지만, M1(M2) 칩은 ARM 아키텍쳐이기 때문에 직접 실행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럴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Cloud 서비스를 이용한 가상화 구축입니다. 이번에는 AWS EC2(Elastic Compute Cloud)를 이용하여 Red Hat Linux를 설치하는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AWS EC2에서 Red Hat 설치 및 연결
먼저 EC2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프리 티어도 사용 가능한 옵션으로만 구성하였습니다.
Terminal을 통해 SSH 연결을 진행합니다.
Red Hat Subscription 등록을 진행하라는 명령어가 나옵니다. https://red.ht/registration 사이트에서 organization을 생성한 뒤 정보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Red Hat 서브스크립션 등록 오류 해결
올바른 정보를 입력하였지만 "non-root user cannot connect system" 에러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오류는 루트 권한이 없는 사용자 계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루트 사용자로 전환하거나 sudo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결됩니다.
• 루트 사용자로 전환: sudo su - 명령어로 루트 계정으로 전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sudo 권한 부여: 현재 사용자에게 sudo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저는 루트 사용자로 전환하여 해결하였습니다.
결론: AWS EC2에서 Red Hat을 사용하는 이유
AWS의 EC2 인스턴스를 활용하면 Red Hat을 쉽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직접 서버를 구축하지 않아도 되므로, 운영 및 관리가 간편하며, 시스템 설정을 연습하기에도 좋은 환경입니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환경의 높은 효율성도 큰 장점입니다. 로컬 PC에서 가상 머신을 실행하면 성능이 제한될 수 있지만, AWS에서는 필요한 사양에 맞춰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확장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Red Hat을 학습하거나 실무에서 활용하려는 분들에게 AWS EC2는 최적의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에서 Claude AI Desktop App 사용하는 법 (비공식 루트) (0) | 2025.04.04 |
---|---|
Linux 파일 권한과 chmod 명령정리 (0) | 2025.02.24 |